🤔 상수란?
상수(Constant)
- 프로그램 내에서 실행되는 동안 선언된 값이 변하지 않는 변수를 의미합니다.
- 앞서 본 변수는 프로그램 내의 실행 내에서 값을 변경할 수 있었습니다.
- 이와 반대로 상수로 프로그램 내에서 실행되는 동안 선언된 값을 변경할 수 없습니다.
언제 사용하는가?
- 주로 프로그램내에서 사용하는 공통으로 사용하거나, 중간에 변경되어서는 안되는 중요한 데이터, 프로그램 내 관리자의 ID 혹은 PW 설정에 사용됩니다.
상수를 만드는 방법
- 변수 선언 시 앞에 final이라는 키워드를 추가하면, 그 변수는 '상수'가 됩니다.
final int TOTAL_SIZE = 30;
- 다음의 예를 통해 상수의 사용을 살펴봅시다.
💻 예시 코드
public class Constants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{
final int TOTAL_SIZE = 30; //상수 TOTAL_SIZE 선언
final char CONST_CHAR = '하'; //상수 CONST_CHAR 선언
System.out.println("상수1 : " +TOTAL_SIZE);
System.out.println("상수2 : " + CONST_CHAR);
}
}
📸 출력 결과
30
하
📛 상수의 명명 규칙(이름을 짓는 방법)
- 상수를 만들 때는 아래의 규칙들을 지켜야 합니다.
1. 상수의 이름은 모두 대문자를 사용해서 작성해야 합니다.
ex) int MAX = 30;
2. 둘 이상의 단어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단어 사이에 언더바를 넣습니다.
ex) int TOTAL_SIZE = 30;
리터럴 상수란?
리터럴 상수, 리터럴(literal)이란?
- 변수에 넣는 값, "데이터"를 의미합니다.
💻 예시코드
int x = 1;
final int z = 3;
- 위의 두 식에서 변수 x와 상수 z에 넣을 값인 1과 3은 리터럴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- 정수 1과 정수 3은 데이터 그 자체를 의미하는 수임으로, "리터럴 상수"라고 불립니다.
자바의 기본 자료형으로 살펴보는 리터럴 상수
정수형 리터럴 상수
- 우리는 실생활에서 정수를 표현할 때 10진수를 사용합니다.
- 컴퓨터는 정수를 표현할 때 10진수 뿐만 아니라 2진수, 8진수, 16진수 이용해 표현할 수 있습니다.
컴퓨터로 2진수, 8진수, 16진수로 정수를 표현하는 방법
- 다음의 예를 들어 컴퓨터의 정수형 리터럴 상수를 사용을 다시 살펴봅시다.
💻 예시코드
public class IntegerLiteral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{
int binaryNumber = 0B100; //2진수 표현
int decimalNumber = 0130; //8진수 표현
int octalNumber = 130; //10진수 표현
int hexadecimal = 0x130; //16진수 표현
System.out.println("2진수로 표현한 값 : " + binaryNumber);
System.out.println("8진수로 표현한 값 : " + decimalNumber);
System.out.println("10진수로 표현한 값 : " + octalNumber);
System.out.println("16진수로 표현한 값 : " + hexadecimal);
}
}
📸 출력 결과
2진수로 표현한 값 : 4
8진수로 표현한 값 : 88
10진수로 표현한 값 : 130
16진수로 표현한 값 : 304
실수형 리터럴 상수
- 실수형 리터럴 상수는 프로그램 내 기본적으로 double형을 기본 자료형으로 사용하고 사칙연산을 진행합니다.
- 만약 float형으로 데이터를 인식하고 싶다면 리터럴 끝에 F또는 f를 붙이면 사용해야 합니다.
double data = 3.14; //실수는 프로그램 내 기본 자료형으로 double로 인식합니다.
float pi = 3.14f; //float형으로 실수를 사용하고 싶다면 리터럴 끝에 F또는 f를 사용합니다.
논리형(부울형) 리터럴 상수
- 자바의 기본 자료형인 boolean이 가질 수 있는 값을 의미합니다.
ex) 참(true), 거짓(false)
boolean a1 = true;
boolean a2 = false;
문자형 리터럴 상수
- 자바의 기본 자료형인 char가 가질 수 있는 값을 의미합니다.
- char형 자료형은 문자 한 글자를 출력할 때 사용하며 작은 따옴표(’ ‘)안에 단어를 넣어 사용합니다.
char ch1 = '상'
char ch2 = '하'
+) 이스케이프 시퀀스
이스케이프 시퀀스란 프로그램 언어 상 키보드로 입력하기 어려운 문자의 표현을 위해 사용됩니다.
자주 사용하는 이스케이프 시퀀스
‘ \t ‘ | 수평으로 탭(tap)만큼 거리를 띄웁니다. |
‘ \\ ’ | 백슬래시(\)를 표시합니다. |
‘ \ ’’ | 작은 따옴표(’)를 표현합니다. |
‘ \n ' | 행을 띄어 출력합니다. |
- 다음의 예를 통해 이스케이프 시퀀스를 살펴 봅시다.
💻 예시코드
public class EscapeSequence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{
System.out.println("AB" + '\t' + 'C'); //수평으로 탭 만큼 거리를 띄웁니다.
System.out.println("AB" + '\\' + 'C'); //백슬레시(\\)를 표현합니다.
System.out.println("AB" + '\'' + 'C'); // 작은 따옴표(')를 표현합니다.
System.out.println("AB" + '\n' + 'C'); // 행을 띄워 출력합니다.
}
}
📸 출력 결과
AB C
AB\C
AB'C
AB
C
📒 Reference (참고 자료)
- 윤성우의 열혈 Java
- 티스토리 - https://mommoo.tistory.com/14
상수(constant) 와 리터럴(literal)이란?
상수(constant)와 리터럴(literal)에 대해 들어본적이 있는가? 만약, 프로그래밍을 어느정도 해왔던 사람이면 한번쯤은 들어봤을만한 용어 들 이다. 하지만 두 용어를 같은 의미로 사용하는 사람들
mommoo.tistory.com
'프로그래밍 언어 > Java 문법 - 기본문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6. Java 기본문법(5) - 연산자 (0) | 2022.10.18 |
---|---|
5. Java 기본문법(4) - 형 변환 (0) | 2022.10.13 |
3. Java 기본문법(2) - 기본 자료형 (0) | 2022.10.12 |
2. Java 기본 문법(1) - 변수 (2) | 2022.10.12 |
1. 자바 프로그램의 개요 및 구조 (0) | 2022.10.1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