💁🏻♂️컴퓨터 네트워킹과 인터넷의 역사
-> 이번 포스팅에서는 1장의 마지막 장으로써 컴퓨터 네트워킹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!
👉🏻패킷 교환 개발(1961~1972)
🤔 어떻게 멀리 있는 컴퓨터에 데이터를 전달하지?
- 처음의 인터넷은 회선 교환(CircutSwitching, 전화망을 이용)으로 데이터를 전달했었습니다.
→ 그런데 회선 교환은 수 많은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음
→ 이에 패킷 교환 방식 개발되었습니다.
🤨독점 네트워크와 인터네트워킹(1972~1980)
💁🏻♂️ 1972년까지의 인터넷
- 서로 근거리에 있는 컴퓨터들끼리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폐쇠적인 네트워크였습니다.
🔎빈트 서프(Vint Cerf), 밥 칸(Bob Kahn) 교수가 만든 네트워크의 철학
🥍네트워크 확산(1980~1990)
👽인터넷 급증(1990년대)
🤩새천년(2000년대 이후)
- 현재는 5억개 이상의 장치가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습니다.
- 광케이블이나,대역폭이 큰 엑세스 네트워크들이 많이 보급되어 있습니다.
- 와이파이또한 굉장히 빨라져 high-speed wireless access를 제공하고 있습니다.
-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소셜 네트워크가 발전하였습니다.
- 구글, MS같은 서비스 제공자들은 각자 자신들만의 네트워크(content provider network)를 운영하고 소유하고 있습니다.
- 더 나아가 아마존,오라클, IBM 회사들은 일반 사용자에게 고성능 컴퓨터가 없이도 네트워크를 통한 서비스를 할 수 있도록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.
📒Reference (참고 자료)
- 컴퓨터 네트워킹 하양식 접근(Computer Networking _ A Top Down Approach, 8th)
- K Mooc - 부산대 컴퓨터 네트워킹 ppt 및 강의 video | K-MOOC
video | K-MOOC
Dynamic Host Config, Protocol 시청
www.kmooc.kr
'네트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네트워크 - ch2-2. 웹과 HTTP (0) | 2023.03.26 |
---|---|
네트워크 - ch2-1.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의 원리 (0) | 2023.03.26 |
네트워크 - ch1-6. 공격받는 네트워크 (0) | 2023.03.19 |
네트워크 - ch1-5. 프로토콜 계층과 서비스 모델 (0) | 2023.03.19 |
네트워크 - ch1-4. 패킷 교환 네트워크에서의 지연, 손실과 처리율 (0) | 2023.03.19 |